글로벌 건강관리 · 운동 · 재활 · 보건 인력 양성
학과소개
‘재활과학’, ‘스포츠의학’, ‘보건학’을 학문적 기반으로 건강 · 운동 · 재활 · 보건 교육 관련 현장에서 이를 실제 응용하고, 적용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현장 실전형 건강운동관리 전문 인력 양성 학과 과정평가형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학사 취
득 후 보건복지부가 인증하는 국가바우처사업 발달재활서비스 운동발달재활영역 제공인력 국가 자격증을 취득하여 전문인력으로 취 · 창업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미래사회 특성화 학과
학과특징
- 인간의 움직임에 기반하는 ‘건강·운동·재활·보건’ 관련 실무 현장에서 ‘재활과학’, ‘스포츠의학’, ‘보건학’의 학문적 지식 응용
- 미래사회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대한민국 ‘건강·운동·재활·보건‘ 新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
- 병·의원, 피트니스·재활센터 조기 취업(3학기 공부 후 마지막 4학기 취업) 및 관련 학과 4년제 대학 편입 사례 다수
-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2년 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, 시험 없이도 발달재활서비스 운동발달재활영역 제공인력 자격증 취득 가능
주요 교과목
건강운동관리사(장애인·노인·생활스포츠지도사) 양성과정
건강과학개론, 기능해부학, 임상운동학, 임상재활테이핑 및 마사지실습 등
발달재활서비스 운동발달재활영역 제공인력 양성과정
근골격 재활운동학, 신경재활운동학, 운동치료학, 아동재활현장실무 등
-
면허 및 자격증
국가공인자격증
건강운동관리사, 노인스포츠 지도사, 장애인스포츠 지도사, 생활스포츠 지도사, 보건복지부 자격인증 과정평가형 자격증, 발달재활서비스 운동발달재활영역 제공인력 자격증
민간자격증
헬스케어 운동트레이너 지도자 1급·2급, 헬스케어 필라테스 지도자기구·매트 자격증 등
위의 자격취득을 졸업 필수요건으로 규정하여, 향후 졸업생 취업률 및 재학생 충원율을 수도권내 최고 수준으로 높여 나갈 예정
2년 동안의 커리큘럼은 국가공인자격 취득을 최우선 목표로 하며, 졸업과 동시에 취·창업 자격을 두루 갖춘 건강·운동·재활·보건 관련 핵심 인재로 양성할 예정
-
졸업 후 진로
- 건강·운동·재활·보건 관련 사업 계획, 수립, 운영, 환류를 필요로 하는 국립, 공립, 사립기관(국민건강보험공단 6급 건강직 등)
- 건강관리·재활·운동 및 피트니스·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센터 취·창업
- 장애인 의료·복지시설, 장애인 관련 단체, 초·중·고·대학
- 공공기관 및 복합·스포츠센터, 스포츠 관련 단체
- 병원 및 재활센터, 호텔 등 서비스 특화 산업체 등 관련 분야
